(3D CLO 12회차) 여성복 3D 융합기술분야
페이지 정보
작성자 니나콘 작성일25-03-07 22:45 조회96회 댓글0건관련링크
본문
작성자 : 윤현진
오늘은 CLO 3D 12회차 수업에서 재킷과 패딩의 봉제 및 수정 과정을 집중적으로 배웠어요.
특히 베스트, 리본 묶기, 패딩 압력 기능을 활용하는 방법을 익히며, 실제 제작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세부적인 요소들을 연습할 수 있었습니다.
디지털 패션에서 고퀄리티의 결과물을 얻기 위해 필요한 세밀한 조정 방법을 배울 수 있어 매우 유익한 시간이었어요.
1. 베스트 제작 과정
패턴 정리
- 패턴 정리를 위해 쌍입술만 사용하고, 단추 트레이스를 설정했어요.
- 라펠, 카라 꺾임선과 뒤트임 활성화 를 통해 실루엣을 조정했고, 주머니는 사방으로 활성화해 자연스러운 형태를 유지했어요.
봉제 과정
- 옆선은 점이 많아 자유 봉제를 활용했고, 뒤판은 트임 봉제와 턴드를 적용했어요.
- 네크 부분은 칼라를 봉제하고, 꺾임선끼리 만나는 부분을 정밀하게 조정했어요.
- 주머니는 사방을 봉제한 후 중심을 잘라 마무리했습니다.
SM 및 수정 작업
- 칼라와 라펠의 각도를 270도로 설정하고, 최종적으로 240도로 조정했어요.
- 트임 부분에도 적절한 각도를 부여해 깔끔하게 마감했어요.
- 심지 작업에서는 앞판 전체 심지를 적용하고, 라펠의 꺾임선에는 심지테이프를 부착해 보강했어요.
- 칼라와 라펠의 꺾임선 간격을 조정하고, 내부선분을 추가해 보다 정밀한 조정을 했습니다.
2. 리본 묶기
배치포인트 활용
- 허리를 조여놓고 묶기 위해 기본 허리둘레보다 5cm 여유를 두고 설정했어요.
- 리본을 깔끔하게 연출하기 위해 배치포인트를 활용해 앞쪽을 정리하고, 뒷부분은 메시 기능을 이용해 다듬었어요.
봉제 및 조정
- 허리를 감싼 뒤 절개선을 앞중심으로 이동해 보다 자연스러운 형태를 구현했어요.
- 매듭 부분은 충돌값을 최소화하고, 중앙 세로 부분에는 고무줄을 30으로 설정해 입체적인 느낌을 강조했어요.
세로링 제작
- 2.5x15cm 사각형을 활용해 접고 봉제한 후 SM 적용
- 링을 복사해 사선으로 꼬이게 배치하고, 메시 기능을 활용해 안정적인 형태를 유지했어요.
- 위사 경사 수축률을 조절하면서 한 번에 내리는 것이 아니라 5~10씩 점진적으로 변경해 균형을 맞췄어요.
3. 패딩 제작
패딩 패턴 및 내부선 정리
- CLO의 충전재 기능을 활용해 압력 조정 방식과 FIL 기능을 비교하면서 적용했어요.
- 패딩의 내부선분을 활성화하고, 겹패턴 봉제를 활용해 패턴을 복사한 후 패딩 봉제선을 정리했어요.
- 시보리 부분은 접힘 각도를 60도로 설정하고, 내부선분을 추가해 120도로 조정했어요.
압력 기능 활용
- 외부선분을 잠그고 패딩 봉제 부분만 활성화해 패딩 형태를 유지했어요.
- 겹패턴 복제 후 겉패턴에 +압력, 속패턴에 -압력을 적용해 볼륨을 조정했어요.
- 내부선분(패딩선) 전체에 고무줄을 적용해 균일한 수축 효과를 주었어요.
- 선분에는 301 스티치를 추가하고, 퍼커링 효과를 조정해 보다 리얼한 패딩 질감을 만들었어요.
스냅 단추 적용
- 상단 스냅만 오픈하는 형태로 설정하면서 하단은 봉제로 고정했어요.
- 단추구멍의 불투명도를 낮춰 보이지 않게 처리하고, CLO의 스냅 설정을 활용해 짝수는 숫놈, 홀수는 암놈으로 배치했어요.
---
이번 CLO 3D 수업에서는 실무에서 적용할 수 있는 세밀한 봉제 기법과 원단의 질감 표현을 디지털 패션 환경에서 어떻게 최적화할 수 있는지 배울 수 있었어요. 특히 패턴의 세밀한 수정과 패딩 압력 조정, 리본 묶기 같은 디테일한 부분을 익히면서 CLO의 다양한 기능을 활용하는 방법을 깊이 이해할 수 있었어요.
제가 정리한 노트 공유해드려요. 필요할 때 찾아보세요~
오늘은 CLO 3D 12회차 수업에서 재킷과 패딩의 봉제 및 수정 과정을 집중적으로 배웠어요.
특히 베스트, 리본 묶기, 패딩 압력 기능을 활용하는 방법을 익히며, 실제 제작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세부적인 요소들을 연습할 수 있었습니다.
디지털 패션에서 고퀄리티의 결과물을 얻기 위해 필요한 세밀한 조정 방법을 배울 수 있어 매우 유익한 시간이었어요.
1. 베스트 제작 과정
패턴 정리
- 패턴 정리를 위해 쌍입술만 사용하고, 단추 트레이스를 설정했어요.
- 라펠, 카라 꺾임선과 뒤트임 활성화 를 통해 실루엣을 조정했고, 주머니는 사방으로 활성화해 자연스러운 형태를 유지했어요.
봉제 과정
- 옆선은 점이 많아 자유 봉제를 활용했고, 뒤판은 트임 봉제와 턴드를 적용했어요.
- 네크 부분은 칼라를 봉제하고, 꺾임선끼리 만나는 부분을 정밀하게 조정했어요.
- 주머니는 사방을 봉제한 후 중심을 잘라 마무리했습니다.
SM 및 수정 작업
- 칼라와 라펠의 각도를 270도로 설정하고, 최종적으로 240도로 조정했어요.
- 트임 부분에도 적절한 각도를 부여해 깔끔하게 마감했어요.
- 심지 작업에서는 앞판 전체 심지를 적용하고, 라펠의 꺾임선에는 심지테이프를 부착해 보강했어요.
- 칼라와 라펠의 꺾임선 간격을 조정하고, 내부선분을 추가해 보다 정밀한 조정을 했습니다.
2. 리본 묶기
배치포인트 활용
- 허리를 조여놓고 묶기 위해 기본 허리둘레보다 5cm 여유를 두고 설정했어요.
- 리본을 깔끔하게 연출하기 위해 배치포인트를 활용해 앞쪽을 정리하고, 뒷부분은 메시 기능을 이용해 다듬었어요.
봉제 및 조정
- 허리를 감싼 뒤 절개선을 앞중심으로 이동해 보다 자연스러운 형태를 구현했어요.
- 매듭 부분은 충돌값을 최소화하고, 중앙 세로 부분에는 고무줄을 30으로 설정해 입체적인 느낌을 강조했어요.
세로링 제작
- 2.5x15cm 사각형을 활용해 접고 봉제한 후 SM 적용
- 링을 복사해 사선으로 꼬이게 배치하고, 메시 기능을 활용해 안정적인 형태를 유지했어요.
- 위사 경사 수축률을 조절하면서 한 번에 내리는 것이 아니라 5~10씩 점진적으로 변경해 균형을 맞췄어요.
3. 패딩 제작
패딩 패턴 및 내부선 정리
- CLO의 충전재 기능을 활용해 압력 조정 방식과 FIL 기능을 비교하면서 적용했어요.
- 패딩의 내부선분을 활성화하고, 겹패턴 봉제를 활용해 패턴을 복사한 후 패딩 봉제선을 정리했어요.
- 시보리 부분은 접힘 각도를 60도로 설정하고, 내부선분을 추가해 120도로 조정했어요.
압력 기능 활용
- 외부선분을 잠그고 패딩 봉제 부분만 활성화해 패딩 형태를 유지했어요.
- 겹패턴 복제 후 겉패턴에 +압력, 속패턴에 -압력을 적용해 볼륨을 조정했어요.
- 내부선분(패딩선) 전체에 고무줄을 적용해 균일한 수축 효과를 주었어요.
- 선분에는 301 스티치를 추가하고, 퍼커링 효과를 조정해 보다 리얼한 패딩 질감을 만들었어요.
스냅 단추 적용
- 상단 스냅만 오픈하는 형태로 설정하면서 하단은 봉제로 고정했어요.
- 단추구멍의 불투명도를 낮춰 보이지 않게 처리하고, CLO의 스냅 설정을 활용해 짝수는 숫놈, 홀수는 암놈으로 배치했어요.
---
이번 CLO 3D 수업에서는 실무에서 적용할 수 있는 세밀한 봉제 기법과 원단의 질감 표현을 디지털 패션 환경에서 어떻게 최적화할 수 있는지 배울 수 있었어요. 특히 패턴의 세밀한 수정과 패딩 압력 조정, 리본 묶기 같은 디테일한 부분을 익히면서 CLO의 다양한 기능을 활용하는 방법을 깊이 이해할 수 있었어요.
제가 정리한 노트 공유해드려요. 필요할 때 찾아보세요~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